톤에 모아레 현상이 발생합니다

망점 톤은 모노크롬 인쇄 시 그레이(회색)를 표현하기 위한 것입니다.


인쇄를 전제로 한 표현 방식이므로 PC 등의 모니터 등에서 망점에 의해 모아레 무늬(물결무늬)가 나타날 수 있지만 인쇄하면 문제없는 경우도 있습니다.


제작한 작품에 모아레 무늬가 나타날 수 있는데 실제로 모아레 현상이 발생한 것인지 그렇게 보이는 것 뿐인지 구분할 필요가 있습니다.


모니터에서 모아레 무늬가 나타난다면 열려 있는 소프트웨어에서 표시 배율을 100%로 하여 톤 상태를 확인하십시오.


아래 그림과 같이 배율이 100%일 때 깨끗하게 보이면 낮은 배율일 때 모아레 무늬가 나타나도 인쇄 품질에 문제가 없습니다.


왼쪽: 배율이 낮은 경우   오른쪽: 배율 100%


배율을 100%로 해도 모아레 무늬가 나타나거나 인쇄했을 때 모아레 무늬가 나타난다면 실제로 모아레 현상이 발생한 것입니다.
다음 사항을 확인하십시오.



톤 겹쳐 붙이기

톤을 겹쳐 붙이는 경우 각 톤의 선 수와 망점의 각도가 일치해야 합니다.

선 수나 망점의 각도는 레이어 속성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선 수가 다른 톤이나 각도가 다른 톤들을 겹치면 아래 그림과 같이 모아레 무늬가 나타나므로 레이어 속성에서 각 수치가 일치하도록 설정하십시오.


왼쪽: 60선의 톤과 50선의 톤을 겹친 경우
오른쪽: 각도 45도의 톤과 각도 50도의 톤을 겹친 경우



망점 부분의 색

톤의 망점색은 검은색으로 통일해야 합니다.
망점색이 그레이라면 인쇄 후 모아레 현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 경우 모니터에서 깨끗하게 보이기 때문에 인쇄 전에 발견하기 어려우므로 작품의 제작 단계에서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인쇄 후 모아레 무늬가 나타났다면 해당 부분을 확대 표시하여 톤의 색을 확인하고 그레이로 되어 있으면 검은색으로 바꾸어 다시 인쇄해 보십시오.


위의 문제는 2치가 아닌 도구(에어브러시 등)에서 톤을 깎은(지운) 경우 등에서도 발생하기 쉽습니다.

만약 계조가 있는 톤을 깎으려면 레이어 속성에서 마스크 계조를 [있음]으로 한 후 효과 범위를 반드시 [마스크한 화상]으로 설정하십시오.


[마스크한 화상]으로 설정해 두면 망점 크기로 농담을 표현할 수 있으므로 망점색은 검은색 그대로 유지되며 모아레 현상은 발생하지 않습니다.


계조가 [있음]으로, 효과 범위가 [화상]으로 되어 있으면 붓질했을 때 톤 망점의 색 자체가 연해져 그레이가 됩니다.


왼쪽: [마스크한 화상]   오른쪽: [화상]



그레이와 망점을 겹친 경우

그레이 스케일과 망점이 혼합된 원고 제작 시 그레이 부분과 망점을 겹치면 모아레 현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망점 자체는 검은색으로 되어 있으므로 언뜻 문제없어 보이지만 모노크롬으로 인쇄하면 그레이 부분은 자동으로 자잘한 망점으로 출력되므로 망점들이 겹친 모아레 무늬가 나타날 수 있습니다.



완성한 작품을 확대/축소할 경우

일반적으로 톤을 붙인 화상 크기를 바꾸면 모아레 현상이 발생한다고 합니다. 그러나 CLIP STUDIO PAINT의 톤화 기능은 내부적으로 망점 정보가 있어 확대/축소 시 적절하게 망점을 변환하므로 모아레 현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출력(내보내기)/인쇄가 가능합니다.


출력 시 크기를 변경하려면 다이얼로그의 [확대 축소 시 처리]에서 [코믹 방향]으로 설정합니다.


※ 인쇄 시 [파일] 메뉴 → [인쇄 설정]에서 [코믹 방향]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일러스트 방향]으로 설정하면 내부적으로 화상 통합 후 축소되므로 톤에 안티에일리어싱이 적용되어 인쇄 시 모아레 현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망점 톤이 포함된 이미지는 반드시 [코믹 방향]으로 출력합니다.


왼쪽: [코믹 방향]으로 축소   오른쪽: [일러스트 방향]으로 축소


또한 CLIP STUDIO PAINT에서 PSD나 다른 범용 형식으로 내보낸 화상은 망점 내부 정보가 손실되어 화상이 확정된 상태이므로 다른 그래픽 소프트웨어로 가져와 축소 등의 처리를 하면 모아레 현상이 발생하는 원인이 됩니다.


인쇄 시 프린터 기능으로 축소한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모아레 현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화상을 축소하려면 반드시 CLIP STUDIO PAINT에서 출력 단계에서 축소를 적용하십시오.



망점 톤을 사용한 작품을 웹에 올리는 경우

망점 톤은 본래 인쇄에 사용하는 것이므로 웹사이트 등에 사진을 업로드하면 모아레 무늬가 생기는 경우가 많습니다.

웹사이트용 화상은 작품 자체를 그레이 스케일로 제작하는 편이 깨끗하게 표시됩니다.


출력 시 다이얼로그에서 표시색을 [그레이 스케일]로 하고 [색 상세 설정]에서 [레이어에 부여된 톤 효과 유효화]의 체크 박스의 선택을 해제하면 그레이 스케일로 출력할 수 있습니다.

※ 원래 망점 톤을 사용하지 않고 그레이로 칠한 경우 체크 박스가 선택되어 있어도 문제없습니다.


웹용 화상에 망점 톤을 사용하려는 경우 웹에 올릴 때 가급적 사이트와 같은 픽셀 수의 캔버스를 만들어 톤의 그물이 너무 촘촘하지 않도록 선 수를 조정한 후 망점 톤을 만드십시오.


또한 출력 후 화상을 반드시 확인하고 배율 100%로 보았을 때 모아레 무늬가 나타나지 않았는지 확인하여 거친 것 같으면 톤 수나 출력 설정을 여러모로 바꿔 보십시오.


[예]

아래 그림은 폭 300px, 높이 260px, 72dpi로 작성하여 톤 수를 20~30정도로 한 것입니다.

선화는 모니터에서 거칠어 보이지 않도록 안티에일리어싱이 적용되어 있으므로 출력 시의 설정에서 표현색은 [그레이 스케일]로 하여 톤 효과가 유효한 상태로, 동일 배율로 출력되었습니다.


위의 내용에 주의하여 작성한 경우에도 웹사이트로 업로드 시 화상에 축소가 적용되면 톤 부분에 모아레 무늬가 나타날 수 있습니다.

이 경우 업로드한 웹사이트의 화상 픽셀 수 상한을 확인하고 CLIP STUDIO PAINT에서 출력 시 미리 축소하면 모아레 현상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 축소 비율이 크면 그물이 너무 촘촘해져 깨끗하게 보이지 않을 수 있습니다.

※ 톤이 거칠어지지 않도록 확대/축소 시의 처리는 [코믹 방향]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축소 비율에 따라서는 [일러스트 방향]으로도 비교적 깨끗하게 나타날 수도 있습니다.